본문 바로가기
이것저것

자본의 힘 - 전한길 쌤 (유물사관, 역사발전 5단계설 - 마르크스)

by ppangsang 2020. 9. 4.
728x90

돈을 밝혀야 유대인처럼 부자가 되는거야

씁쓸하게 다 아는 이야기를 해보겠다

유물사관 (돈으로써 역사를 보는 관점, 유물= 돈=경제) : 돈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국가의 발전정도, 정치까지 결정된다.

유대인은 어릴 때부터 이런 교육을 시킨다. 탈무드의 이야기의 80% 가 돈 이야기이다. 

 

집안에도 - 할아버지가 돈 많이 가지면 효도한다

친구사이 - 돈 있는 애가 1,2차 결정하는 거야

부부사이 - 돈 많이 벌면 무시 안 당한다.

 

취업: 돈없는 집안 자식이 돈 있는 집에 가서 내 노동과 능력을 파는 일 (조선시대에는 취업이 없었잖아)

 

그래서 자본가들이 갑이 될 수 밖에 없어서 노동자들을 위해서 법에 의해 보호 받으려고 하고 근로계약서 작성하고 그런거다. 최저임금, 인격적으로만 대해줘라..

돈 많은 거 인정하겠다. 그대신 그에 맞는 도덕성과 의무를 다해라.

 

우리나라가 부자에 대한 인식이 안 좋은 이유가 부정하게 벌고 기부도 잘 안하고 갑질하는 걸 많이 봐서

 

바닥에 내려가고 싶지 않다. 바닥에 내려가니 아무도 내 말 믿지도 않고 비참하다. 

 

역사발전 5단계설 - 마르크스

  • 원시공산사회 - 10명이 10명이 먹고 산다, 니꺼 내께 없다
  • 고대노예사회 - 족장 1명이 놀고 먹고 9명이 일해 (생산량이 더 좋아져서)
  • 중세봉건사회 - (봉건: 나눈다) 영주들끼리 땅 나누고.. (수확률 많아져서) - 우리나라는 이 시기가 없다
  • 근대자본주의 - 지금, 산업혁명 이후에 생산량 엄청 많음. 자본가가 지배하는 세상 (성균관대 교수, 삼성의료원 의사 - 삼성에서 월급받아 사는거야)
  • 예언 :공산주의가 온다 (부르주아계급, 프롤레타리아 계급(proletarian) 하지만 하향평중화가 되고 또 인센티브 주고 그러면 또 불평등이 오는 딜레마)

식민지근대화론 (식민지 지배를 하는게 아니라 너네들을 근대화 시켜주었다)

일본이 이야기하길 우리는 중세봉건사회가 없어서 고대노예사회에서 살고 있다. 자본주의로 오고 싶으면 식민지배를 받아라

 

출처

youtu.be/KL6HzZGLT2U

 

728x90

댓글